Kongju National University GRC(Game Research Center)
GRC(게임연구소) 란?
GRC란 “Game Research Center”의 약자로 2004년부터 문화관광부 산하 (재)한국게임산업개발원이 국내 게임분야 연구기반 및 연구개발의 전략적 집중육성을 위해 지정된 게임연구센터입니다. 이에 저희 공주대학교가 게임 특성화 연구분야에 육성의지를 가진 대학으로 선정되어 “게임디자인센터”로 발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연구 구성원]
센터장 : 경병표/유석호
센터운영위원 : 이동열, 이완복, 이동엽
센터연구교수 : 박인수, 고정운, 김남재, 한정원
선임연구원 : 조일현, 최홍준, 허설화, 정수, 조용비
해외연구원 : 하준(복주대학), 학문원(복주대학), 손서평(샹탄대학), 이현음(절강미디어대학), 양원(상해공정기술대학), 녕서가(상해공정기술대학), 유효충(상해공정기술대학)
산업체연구원 : 이흥우, 이인호, 김승욱, 김한호, 이동성, 김지혜
연구원 : 신현주, 이건박, 전완신, 고개(Gao Kao), Shang Jiong-li, 정재주, 황해표, 사한, 박찬, Wang Jun, Wang Hui-ling, Lu Jia-qi
[연구 분야]
IT / 게임 / 3D Motion / VR-AR-MR / XR / 멀티미디어 / 지식기반산업 전 분야
[연구 개요]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GRC의 주된 연구 테마는 “3D 게임 캐릭터”와 “3D 모션캡쳐”이다. 게임캐릭터 전반에 관한 연구, 특히 3D 게임 캐릭터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그것을 기반으로 모션캡쳐를 적용할 수 있는 3D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에 관한 다양한 연구성과를 얻고 있다. 또한 3D 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 연구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제작과정 및 제작파이프라인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 성과를 이용한 산업화 전략을 갖추어 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또한 모바일, PC기반 VR/AR/MR에 대한 연구를도 진행하고 있으며 상용화 게임엔진(Unity, UDK) 기반 미래 지향형 게임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도 진행 하고 있다.
[GRC 3개년 연구 프로젝트(종료)]
1차년도 프로젝트:
– 3D 게임캐릭터 애니메이션 개요
– 게임에 이용된 디지털 기반 Game Character의 요소별 모델 분류 설정(형태, 종류, 동작, 상태, 효과 등)에 관한 연구
– 3D 게임캐릭터 애니메이션 요소별 모델 분류 설정 제안
2차년도 프로젝트:
– 디지털 모션캡쳐 시스템의 개요 및 3D 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 적용
– 3D 게임캐릭터와 모션캡쳐 시스템의 연동을 통한 실사 움직임(Real Working) 제어 연구
– 3D 게임캐릭터의 실사 움직임(Real Working)과 3D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종류별, 형태별 모델 분류에 따른 제안
3차년도 프로젝트:
– 3D 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 분류법 정의
– 3D 게임캐릭터의 모델 분류에 따른 3D 게임용 애니메이션(Real Working) 제작과정 및 제작 파이프라인 도출
– 3D 게임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과정 제안
– 3D 게임캐릭터의 모델 분류에 따른 게임산업에 대한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
– 3D 게임캐릭터 애니메이션 모델분류 제안
[기타 연구 사업]
산업자원부 지역산업진흥사업 (아이뮤직 소프트와 공동 진행 2010~2012)
– 보급형 3D 가상현실 스튜디오 공동 개발
[GRC 지원사업]
– 연구중점사업 : 게임관련 학술 행사를 통한 연구력 향상 지원
– 개발중점사업 : 게임분야 산학협력을 통한 게임 신기술 연구
GRC란 “Game Research Center”의 약자로 2004년부터 문화관광부 산하 (재)한국게임산업개발원이 국내 게임분야 연구기반 및 연구개발의 전략적 집중육성을 위해 지정된 게임연구센터입니다. 이에 저희 공주대학교가 게임 특성화 연구분야에 육성의지를 가진 대학으로 선정되어 “게임디자인센터”로 발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연구 구성원]
센터장 : 경병표/유석호
센터운영위원 : 이동열, 이완복, 이동엽
센터연구교수 : 박인수, 고정운, 김남재, 한정원
선임연구원 : 조일현, 최홍준, 허설화, 정수, 조용비
해외연구원 : 하준(복주대학), 학문원(복주대학), 손서평(샹탄대학), 이현음(절강미디어대학), 양원(상해공정기술대학), 녕서가(상해공정기술대학), 유효충(상해공정기술대학)
산업체연구원 : 이흥우, 이인호, 김승욱, 김한호, 이동성, 김지혜
연구원 : 신현주, 이건박, 전완신, 고개(Gao Kao), Shang Jiong-li, 정재주, 황해표, 사한, 박찬, Wang Jun, Wang Hui-ling, Lu Jia-qi
[연구 분야]
IT / 게임 / 3D Motion / VR-AR-MR / XR / 멀티미디어 / 지식기반산업 전 분야
[연구 개요]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GRC의 주된 연구 테마는 “3D 게임 캐릭터”와 “3D 모션캡쳐”이다. 게임캐릭터 전반에 관한 연구, 특히 3D 게임 캐릭터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그것을 기반으로 모션캡쳐를 적용할 수 있는 3D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에 관한 다양한 연구성과를 얻고 있다. 또한 3D 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 연구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제작과정 및 제작파이프라인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 성과를 이용한 산업화 전략을 갖추어 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또한 모바일, PC기반 VR/AR/MR에 대한 연구를도 진행하고 있으며 상용화 게임엔진(Unity, UDK) 기반 미래 지향형 게임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도 진행 하고 있다.
[GRC 3개년 연구 프로젝트(종료)]
1차년도 프로젝트:
– 3D 게임캐릭터 애니메이션 개요
– 게임에 이용된 디지털 기반 Game Character의 요소별 모델 분류 설정(형태, 종류, 동작, 상태, 효과 등)에 관한 연구
– 3D 게임캐릭터 애니메이션 요소별 모델 분류 설정 제안
2차년도 프로젝트:
– 디지털 모션캡쳐 시스템의 개요 및 3D 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 적용
– 3D 게임캐릭터와 모션캡쳐 시스템의 연동을 통한 실사 움직임(Real Working) 제어 연구
– 3D 게임캐릭터의 실사 움직임(Real Working)과 3D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종류별, 형태별 모델 분류에 따른 제안
3차년도 프로젝트:
– 3D 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 분류법 정의
– 3D 게임캐릭터의 모델 분류에 따른 3D 게임용 애니메이션(Real Working) 제작과정 및 제작 파이프라인 도출
– 3D 게임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과정 제안
– 3D 게임캐릭터의 모델 분류에 따른 게임산업에 대한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
– 3D 게임캐릭터 애니메이션 모델분류 제안
[기타 연구 사업]
산업자원부 지역산업진흥사업 (아이뮤직 소프트와 공동 진행 2010~2012)
– 보급형 3D 가상현실 스튜디오 공동 개발
[GRC 지원사업]
– 연구중점사업 : 게임관련 학술 행사를 통한 연구력 향상 지원
– 개발중점사업 : 게임분야 산학협력을 통한 게임 신기술 연구
국립대학육성사업
지역 소외계층의 고등학생 및 본 학과 재학생들이 서로 융합하여 게임 개발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해봄으로써 게임제작에 대한 흥미유발과 동시에 게임기획, 게임그래픽, 게임프로그래밍, 사운드 등의 전반적인 게임 제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계,동계 게임제작캠프(KGDC)
방학기간 지역 고등학생과 함께 협동하여 단기간에 게임을 제작해보며 게임에 대한 이해와 진로 방향을 제시하며 게임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국제게임제작대회(Global GameJam)
중국, 싱가포르, 일본, 한국 등 각국의 대학생이 모여 단기간에 함께 게임을 제작하고 우수함을 겨루는 대회로서 각국의 게임 관련 전공 지식을 교류하고 안목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